본문 바로가기

In Stockholm/Life

[해외 유럽 송금] 한국 은행에서 스웨덴 은행(Handelsbanken)으로

직장이든 유학이든 유럽에 온 지 얼마 안되신 분들은 초기 정착을 위해 한국 은행에서 유럽 은행으로 돈을 송금 해야할 일이 종종 발생 한다.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한국에서 송금을 받을 본인 계좌의 IBAN과 BIC 번호를 확인 하는 것이며 스웨덴에 Handelsbanken을 기준으로 설명 하면 아래와 같다.

IBAN과 BIC 번호 확인을 위해 은행 페이지에 로그인을 하여 본인 계좌에 대한 정보(Kontoinformation) 텝을 클릭 하여 본인이 보유한 계좌를 확인 한다.

 

Kontoinformation

 

송금을 받을 계좌를 클릭 하면 아래와 같이 IBAN 번호를 확인 할 수 있는 텝을 볼 수 있다.

 

계정 약관 및 IBAN

 

클릭을 하면 본인 계좌의 IBAN 번호를 확인 가능 하다. 스웨덴 은행의 경우 SE로 시작 하는 

 

IBAN

 

 드디어, 해외 송금을 받을 정보가 확인 되었고 이제 한국 계좌에서 해당 정보를 가지고 해외 송금을 진행 하면 된다.

다음은 한국 우리은행 계좌 모바일 기준으로 해외 송금 방법이다. 매우 간단히 송금 할수 있다!

외환/환전 -> 해외송금 -> 해외송금 보내기 

 

해외송금

 

송금 목적 및 보낼 금액을 입력 한다. 생활비 명목이라면 별도로 증빙서류가 필요 없으며 증빙 서류가 필요 없는 송금 한도는 아래와 같다.
*건당 5천불, 연간 1만불 까지만 서류 없이 가능 하며 그 외는 국세청에 통보

 

증빙서류 미제출 가능 규정

 

송금 목적을 입력 한후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기입 후 금액을 입력 하는 곳에 위에서 조회된 IBAN 코드를 입력 하면 된다.
*유럽의 경우 뒤에 XXX 세자리가 추가로 붙는 경우가 있는데 BIC 코드와 Swift 코드의 자릿수가 달라서 붙는 것이니 걱정 하지 않아도 된다.

 

우리은행 해외송금 텝

 

 또한 아래와 같이 각 통화 단위에 따라 중계 수수료가 다르게 붙는다. (2020년 1월 기준)

 

중계 수수료

 

입력한 모든 정보를 최종으로 확인 하고 송금을 위한 보안 정보(OTP등)을 입력 하면 최종으로 송금 진행/요청이 접수가 된다.

경험 상으로 유럽 계좌에 입금까지 약 3-4일 Working day가 소요가 되었으며 혹시 입금 했다는 증명서가 먼저 필요하다면 동일한 앱에서 송금 내역을 이메일로 전달/ 추적 역시 가능 하다.